매우 매우 간만에, 학교 관련되지 않은 책 읽을 짬이 나서 박선생에게 빌린 슬램 돌파.
간만에 외국 존잘에 푹 빠져서 잘 뒹굴었다. 역시 소설이란 이래야 맛이다. 어. 슉 슉 읽혀지면서, 계속 시선을 잡아 챈다. 인물과 상황이 주고 받고 주고 받고 주고 받고 / 예~ 자연스럽게 읽게 한다는 건 이런거구나 싶네. 80일만 더...도 잘 읽었으니 새삼스러운 소리지만, 우왕 닉 혼비 개존잘이다 우왕.

그래봤자 번역의 문턱이 있겠지만. 워우우. 워우우.

문장이란 뭘까? 뭔가의 번데기가 아닐까? 하지만 역시 이런 저런 작가 읽다 보면 번데기고 자시고 다 핑계인 거 같고 네 그렇습니다. 나는 이런 투의 문장을 못 쓴다고 해서, 이런 걸 못 쓴다는 건 말이 안된다는 거죠. 그런 문장을 쓰지 못해도 충분히 이런 저런 그런 얘기 다 할 수 있습니다. ㅇㅇ 결국은 내가 존못이라는 뜻입니다. ㅇㅇ

다 필요없고 박격포가 제격이다.


...
마지막 장면이 잊혀지지 않는다. 얼굴 하나 하나가 뇌에 새겨져서 가슴에 보관될 것 같다.


곽모ㅋㅋㅋㅋ...곽모...ㅋㅋㅋㅋㅋㅋ 
내 이 원수는 반드시 갚고 말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이 더러운 세상!


박민규 작
이되 박민규는 없고 박민규 같은 것들이 다른 사람들의 작품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을 자기 식으로 변환해서 배출한 무언가.

난 말야. 박민규는 말야. 쏘주 뚜껑을 칵 까면서 그 사이에 ㅋ - 하고 웃음소리 새어 나가는 그 맛이라고 생각했는데 말야. 이번에는 그 맛이 영 안나더라고. 당신, 이런 쏘울 아니었잖아. 당신 글의 어줍잖은 형식과 어줍잖은 인물들은 설령 그게 뱃속에서 다 소화도 되지 못하고 쏟아져 나온 토사물 꼴일지언정 단 한 번도 살아가려는 발버둥을 멈춘적은 없는, 오히려 설익음을 딛고 선 주제에 삶을 의심하지 않는 놈들이었는데. 그런데 왜 이미 엔간한 사람들이 다 한번씩 우려 먹고 빠져 나오지 못하는 우물쭈물한 회색 인영을 뒤집어 쓴 거야. 그런 인간들 그런 스토리임에도 불구하고 당신 개성이 비어져 나오긴 했지만, 안 맞는다고.

골 터지게 관찰하지 않고 그냥 ㅋㅋㅋ 거리며 넘겨도 이 작가가 헛소리를 보여 주진 않을 거라고 마음 푹 놓고 보곤 했었는데, 이번에 박민규에 대한 믿음이 꽤 흔들렸다.

내가 언년이 자체는 그닥 좋아하지 않아.
그런데 태하언년적 관점에서 봤을 때 언년이는 괜찮아.
그리고 내가 태하언년을 꽤 지지하기도 해. 랄지 돌 떨어트리기 전부터 걍 저 둘이 이어지는게 낫겠다고 생각하고 있었어.
그런데 태하언년적 관점에서 송태하는 내 관점 이 드라마 최고 볍신캐인 거 같아.




 
새로 들어온 알 트리오를 겟했다.
나치고는 드물게도 아이들 중 셋이 수컷이 되었다.


첫째, Porcelany - female

Striped dragons come in a dazzling array of colors complemented by an intricate pattern of stripes. These bright colors and patterns help attract their favorite food, insects. Because their prey is so tiny, striped dragons must spend a large portion of their day eating. The color of the offspring is usually determined by the dragon's mate.

-----------------------

역시나 색깔 배합이 꽤 예쁨. 조신해 뵈는 생김새도 마음에 든다.



둘째, Kallisa - male

As their name suggests, Electric dragons are capable of producing electric charges. They can produce different amounts of electricity depending on their mood and time of year. During mating season, their sparks become brighter to attract potential mates. Electric dragons aren't usually a danger to other dragons, but they do use their power to attack predators and prey.

------------------

기존 전격용보다 더 멋진 듯. 깔쌈하다. 헤츨링 시절도 뭔가 꽤 노는 놈으로 보인다.


둘째, Shatten Stein - male

Nocturne dragons are a strange breed. Whenever light strikes their bodies, they are frozen in whatever position they were in. This leaves them vulnerable and they rely on camoflague to keep themselves safe. They are often mistaken for statues when in this frozen state, but Nocturne dragons do not actually turn into stone. Rather, they merely idle until the sun goes down. At night, these dragons come to life, proving themselves to be powerful fliers, although little else is known about their true behavior.

--------------------

밤낮(미국 기준-덕분에 정작 내가 보는 건 정 반대)에 따라 위(밤) 아래(낮)으로 바뀐다. 밤 쪽이 5배는 취향인지라 매우 아쉽다. 아, 위쪽이 샤텐 아래쪽이 슈타인.



넷째, Nemus shaien - male

Canopy dragons love to soar above the tropical jungles, and other densely forested areas. Their billowing, layered wings create generous lift that allows them to ascend effortlessly over the warm jungle. While their unique wings do not make them the fastest flyers, they are champion gliders. To further this end, dexterity, manueverability, and grace are all judged by the females when selecting their mates from the males that can accurately complete the exhausting and elaborate courtship dance between the close growing branches of the upper canopy.

-----------------------------

기대했던 것보다 컬러플하고 재미있게 생겼음. 암컷 / 수컷 생김새가 다른데 암컷 쪽이 좀 더 취향이다.
해츨링 때 색깔이 가히 환상적이었음. 비록 머리가 잘 안 보이긴 했지만.

일명 어깨들과 소녀. 바위 틈에 핀 개나리 한 송이
하지만 이중 셋이 여자라는 거?


첫째, Ocelli - female


Two headed dragons are a special breed of dragons. They have two necks, two brains, two mouths, but one stomach and one main body. The two heads usually work together, but there are times when they will fight each other, attacking back and forth. They use their sharp teeth and wings to hunt large animals, and rarely eat plants. It is unknown what would happen if a two headed dragon were to mate with a one headed dragon, since it has never occurred. They only mate within their breed.

-----------------------------

의인화를 어떻게 해야 할지 좀체 감이 오지 않습니다. 언니.
개인적으로는 남성 쪽이 더 간지난다고 생각하는데. 끙. 얘가 알을 낳게 하든 알을 하나 더 줍든 해볼 참.



둘째, Babella - female

Deep sea dragons, as their name sugges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darkest depths of the sea. They have a bioluminescent dorsal spine that serves to attract prey and communicate with their own kind. As with many deep sea animals, they generally eat whatever they can manage to bait. They rarely leave the ocean floor, surfacing only during breeding season. When they do choose to travel to the shallower depths, they avoid bright lights and will only come up far away from shore.

---------------------------

해츨링 시절 내내 이 시커먼 천뭉치의 어디가 머리인걸까 고민했다. 대체 날개인지 지느러미인지는 어디에 달려 있는 거지???????



셋째, Arteshavin - mele

Geode dragons are closely related to Stone dragons. They are covered in a hard stone-like material as well as beautiful crystal. Their wings are entirely useless for flight, but they help attract mates. The dragons with the most brilliant and colorful crystals are more likely to mate.

--------------------------

스톤드래곤인줄 알고 주웠는데 지오드...
그닥 줍고 싶은 마음이 없었던지라 별로 반갑지는 않다. 특히 날개 부분이 이게 뭐하자는 건지 모를 생김새. 설명대로라면 실사체는 좀 근사할지도 모르겠다.



넷째, Forsathia - female


Pygmy dragons are the smallest breed of true dragons, being the size of a small cat. They are often found around concentrated populations of dragons, relying on their larger brethren to ward away potential predators and to leave generous scraps. As such, the majority of a pygmy's diet is scavenged, though they do hunt songbirds and small mammals when the pickings are slim. Due to their tiny size, pygmies do not breed with other varieties of dragons, but select mates within their breed.

-------------------------

레알 작은 무언가.
이름은 개나리 학명에서 변형했다. 노란 때깔이 곱고녀.
수컷 쪽 자세가 좀 더 취향인데 암컷도 나쁘지 않다. 번식을 시키려면 자기와 같은 종류의 용만 된다니 수컷을 모으기 위해서 하나 더 줍든지 해야 할 듯.

슬슬 작명의 밑천이 드러나기 시작하고 있음.



첫째, Caeli Nebula - Male

Daydream dragons are the hosts of daydreams and fantasies. They spend the majority of their time sitting on clouds, dropping daydreams down into the minds of people passing by. Humans who live near daydream dragons must be especially careful not to let their thoughts wander, or they could end up spending hours or even days in a trance-like waking dream state.

-------------------------------------------------

설정도 외형도 매우 마음에 드는 데이드림. 첫눈에 반했음. ㅇㅇ



둘째, Armasa - Male

Red dragons are similar to typical story book dragons. They shoot flames, can fly, etc. However, they aren't evil creatures as depicted in myths and won't go around raiding castles, killing knights, or kidnapping princesses. They live in a variety of habitats, from forests to coastlines to abandoned castles, usually in warm climates, and eat whatever living creatures they can find.

-------------------------

레알 드래곤. 기대했던 것보다 예쁘지 않아서 조금 실망햇다.




셋째, Lucrenzia - female

Magi dragons are, as their name suggests, primarily magic users. They rarely use physical forms of attack. They eat anything they can kill, which is almost everything. They won't kill unprovoked except when hunting, although they may kill humans if in danger. Their strong magic makes them one of the most feared breeds of dragons.

----------------------------



넷째, Snowdaisy - female

Seasonal dragons tak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 during which they are born. Thus, eggs that are laid in spring match the pink flowers and green buds of spring, and those that are laid in the summer grow to depict the bright green of the forest trees and the yellow of the sun. Eggs laid in autumn display the bright colors of leaves falling from trees, and those that are laid during winter take on the appearance of the icy snow.


---------------------------

여기까지 매우 성공적인 알 줍기. 시련은 이 다음부터였던가 다다음부터였던가?

  하늘치는 고독을 알지  못한다. 그것은 세상의  둥근 지평선을 따라 별의 바다 속을 고요히 헤엄쳤다.
 

벗이 있었다. 검으로는 나라에서 그와 대적할 수가 없으리라 칭송을 듣던 이였다. 명성은 허언이 아니었고, 때문에 벗은 언제나 그의 앞에 있었다. 그래서 그 누구보다도 벗과 자신의 간격을 잘 알고 있었다. 벗이 허물없이 그의 어깨에 팔을 걸고, 서슴없이 그에게 등을 맡길 때. 나란히 서 있을 때 그 간격은 더욱 아득하게 벌어졌다. 그가 앞을 바라보면 언제나, 언제나 보이는 것은 벗의 등이었다. 그의 시선이 향하는 자리에 벗은 오롯이 서 있었다.
그 실력만큼이나 곧고 바른 이였다. 그들이 지켜야 할 나라가 외적에게 무참하게 유린 당하고 나라의 근본이 허물어졌을 때조차 그는 흔들리지 않았다. 그는 본분을 다 했다. 그가 달려나갈 때 그는 미련을 품은 눈으로 그의 등 뒤를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자신은 나아갈 수 없고 나아갈 필요도 없으며, 나아가지 않는 것이 맞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는 벗에게서 시선을 돌리지 못했다.
그들이 지키지 못한 나라는 날이 갈수록 뒤숭숭해졌다. 적국에 인질로 보내져 8년을 보내고 돌아온 국본은 온 몸의 구멍에서 진물을 쏟고 요절했다. 국본을 절명케 한 것은 적국이었을까, 아니면 고국이었을까. 어쨌든 기회는 왔다. 그는 벗을 거꾸러 뜨렸다. 그의 자리를 차지했다. 천한 관노로 떨어진 그의 등을 밟고 말에 올랐다. 절로 훈련하는 자신의 흔적을 훑어보는 그의 시선을 무시했다. 국란과 숙청이라는, 검 한 자루로는 도저히 헤쳐나갈 수 없는 전쟁에서 그는 승리했다. 그는 벗을 외면했다. 벗의 뜻도 정도 의리도, 벗과 함께 한 시간 버렸다. 첫 승리는 첫 도피였다. 졌으나 물러나지는 않았던 전장에서, 그는 내려갔다. 그는 벗을 꺾었으나 그의 검을 쥐고 흔드는 권세에 졌다.
그리고 벗은 여전히 그의 앞에 서 있었다. 이제 적장과 검을 겨루었던 장수는 없다. 언제나 그의 손에서 창을 떨구던 경쟁자도 없다. 그의 승진을 가로막는 자도 없고 그의 앞에서 무관의 자세를 말하던 자도 없다. 그가 애써 어깨를 펴고 고개를 치켜 들어야만 간신히 마주할 수 있는 친우도 없다. 그는 잘 해 나가고 있었다. 권세가의 장애있는 딸을 아내로 맞아들여 뒤숭숭한 세상에 쉬 끊어지지 않을 연줄을 만들었다. 노모와 따순 밥을 나누어 먹고 다달이 녹봉을 전해 드렸다. 그저 참고, 참아가면서 한 세상 살아갈 수 있었을 것을. 벗에게서 등을 돌렸듯 뒤틀린 세상에는 눈을 감고 의젓하게 살아가고자 했으나...
그러나 벗은 여전히 그의 앞에 서 있었다. 그리고 피바람이 다시 그를 전장 아닌 전장으로 몰아갔다. 그가 외면한 세상이 그의 검에게 핏값을 갚으라고 울부짖었다.


아무래도 저는 글른 거 같습니다.
관 안에 곱게 누워서 뚜껑 닫히길 기다리는 기분이어요. 

아이고 씨발 왜! 왜! 왜 또! 왜!

아무래도 한국에 저 피디가 있는 한 나는 안될 거 같아. 틀린 게야.

+ Recent posts